하남성(48)
-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그림 속의 비밀
11월 5일 여행 26일째 어제 우리 부부는 이곳 하남성 박물원을 구경하다 4시 45분 폐관 시간이 다되어 박물원을 나와야 했습니다.아침에 일어나 모든 스케쥴을 취소하고 다시 박물관으로 달려갔습니다.아마도 많은 분이 우리가 한 행동을 보고 바보 같은 짓이라 비웃을지 모릅니다.그 이유는 청명상하도라는 그림을 보다가 깜짝 놀랄 모습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일찍 박물원에 도착해 제일 먼저 2층 8 관람실로 직행합니다.바로 그곳에 청명상하도가 비록 모사작품이지만, 그림과 미니어처로 만든 것이 전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내가 좋으면 이런 일도 할 수 있지 않을까요?왜?자유 여행이니까! 그러나 이 꼭지의 글을 다 읽으신 후에는 왜 우리 부부가 두 번이나 박물원을 들려 청명상하도를 보았는지 이해하리라 생각합니다.오늘의..
2012.06.30 -
당삼채와 그 밖의 도기들
정신이 빠져 유물을 살펴보고 있으려니까 정복을 입은 사내가 뭐라고 합니다.눈치를 보니 이제 박물원 문 닫을 시간이 가까워진 듯합니다.잠시 시간을 보내려 박물원을 찾아왔지만, 이곳에는 볼 게 무척 많습니다.그만 유적에 눈이 팔려 정신없이 바라보다 보니 시간이 제법 많이 지났나 봅니다.그러나 우리 부부는 아직 보지 못한 곳이 많습니다.그만큼 이곳은 볼 게 많다는 말이 되겠네요. 당삼채라는 도자기도 많이 진열되어 있습니다.당삼채(唐三彩)는 중국 당나라 시기의 도기로 삼채 유약을 사용한 것이라 합니다.당나라 때 삼채 유약을 사용해 만들었기에 당삼채라는 이름을 붙였나 봅니다.주로 장안이나 낙양 귀족들의 장례용으로 제작되었고 묘 능에 함께 묻어두는 풍습이 있었고 물론, 후기로 접어들며 여인들의 장식으로도 많이 사..
2012.06.29 -
하남성 박물원 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나요?
정저우는 하남성의 성도라고 하며 위치상 북쪽으로 황하와 인접하고 서쪽으로는 숭산이 버티고 동남쪽에는 광활한 황준(黃準) 평원이 있답니다.관광자원은 거의 없고 사통팔달 교통의 중요한 길목으로 동서와 남북을 잇는 대부분 교통로가 이 도시를 거쳐 간다고 봐도 될 정도로 나날이 발전하는 교통의 도시라네요.그래서인가요?엄청난 사람이 정저우 역에서 북적거립니다.그러면 이곳 정저우에서는 무엇을 보아야 할까요?그냥 사람이나 바라보다 가야 하나요? 그러니 이 도시에서 꼭 봐야 할 것은 바로 박물원이라고 생각합니다.입장도 무료이니 그냥 외면할 이유가 없습니다.중국 역사의 시발점이라는 상주(商周)시대의 유물부터 최근의 유물까지 무척 다양한 유물이 전시되어 있는데 이 동네가 바로 중국 문명의 시작이라 했으니 정저우에 오시면..
2012.06.28 -
솥의 숫자는 권력의 힘이랍니다.
당삼채(唐三彩)라고 하는 화려한 색깔의 도자기 인형이 보이는데 특히 당삼채는 당나라 때 꽃을 피운 도자기로 색깔이 세 가지로 채색한 도자기라 그리 불렀던 모양입니다.그런데 이게 실생활에서 사용된 자기가 아니라 주로 죽은 사람의 무덤에 넣기 위해 만들었다고 하니 알다가도 모르겠어요.죽은 자를 위해 특별히 만든 도자기라니....이는 아마도 공명의 만두처럼 순장 대신 이런 당삼채를 사용했지 싶습니다. 위의 사진에 보이는 사람을 보면 우리 아들이 어릴 때가 생각나 픽 웃었습니다.우리 아들이 아기였을 때 쬐끄만 녀석이 무슨 불만이 그렇게 많았는지 가끔 저렇게 엄지손가락을 입에 넣고 빨았답니다.바로 딱 저런 모습으로 말입니다.배가 고파 그랬나요?아니면 스트레스 때문이었을까요.아마도 험한 세상을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2012.06.27 -
정저우(郑州)에선 어디를 갈까?
오늘은 뤄양을 떠나 정저우로 갑니다.뤄양은 세계적으로도 이름난 옛 도시지만, 서둘러 길을 나섭니다. 한국에서 출발할 때는 사실 뤄양에 대한 기대도 많았고 여러 곳을 다녀오리라 생각했지만, 와서 보니 너무 빨리 떠나네요.우리 여행이 중간에 예정에도 없이 여러 번 경로 이탈을 했기에 이제 남은 여행 날짜가 많지 않아 대부분 그냥 지나칩니다.계획에는 정저우로 가기 전 소림사를 들려보려 했지만, 이마저 미수에 그치고 말았습니다. 어제 정저우행 기차표를 예매할 때 좌석이 없어 입석으로 표를 구했습니다.뤄양에서 정저우까지 한 시간 반 정도밖에는 걸리지 않는다고 하기에 버스를 타지 않고 그냥 입석표를 끊고 11시 54분 출발 기차에 오르자 제법 사람이 많네요. 우리 부부는 입석표를 끊었기에 배낭을 내려 짐칸에 올..
2012.06.26 -
북망산... 그 허망함이여~
이제 이곳 북망산에 묻혔던 수많은 무덤도 도시화의 영향으로 대부분 사라지고 말았습니다.살아있는 사람이 죽은 사람의 자리를 자꾸 빼앗고 있습니다.그 옛날 모두가 그 사람을 바라보았고 그 사람의 한 마디에 산천초목이 벌벌 떨었지만,지금은 동네 유기견마저 거들떠보지 않습니다.한때는 천하를 호령했던 사람도 죽은 후 세월이 많이 지나니 개털보다 못한 처지가 되어버리는데 범 털은 무엇이고 족제비 털은 또 무엇입니까?옛날에는 세상을 움켜쥐었던 어마어마했던 사람도 지금은 덜수같은 사람에게도 밀려납니다. 인간이 삶이란 이리도 허망한 게 아닐까요?딱 한 번만 왔다 가는 우리네 삶이 말입니다.살아가는 도중, 가족을 더 사랑하고 주변 사람을 더 격려하며 살아야 할 이유가 아닐까요?특히 부부간의 사랑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2012.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