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서원과 향교(15)
-
생사당이라는 태산사(泰山祠)가 있는 무성서원
정읍 무성서원은 특이하게도 생사당(生祠堂)이라는 건물이 있습니다.보통 서원에는 선현이나 공자를 모신 제향 공간은 뒤쪽에, 강학 공간은 앞쪽에 배치되는 전학후조(前學後廟)의 모습을 볼 수 있지요. 그러니 공부하는 강학영역은 앞에 배치하고 제향을 위한 영역은 뒤로 배치하지요.물론, 여기도 같은 구조임에는 분명합니다.다만, 당시에 살아계신 분을 모신 생사당이라는 게 다르네요. 그러나 제향공간인 주로 높은 학문이 높은 돌아가신 분들의 위패를 모신 공간인데생사당은 다른 곳과는 달리 당시 살아계셨던 고운 최치원(崔致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만든 사당이라는 것이 특이합니다. 그러나 무성서원은 고려 말에 쇠약해졌다가 1483년(성종 14) 상춘곡을 지은 문인정극인(丁克仁)이 세운 향학당(鄕學堂)이 있..
2023.08.23 -
정읍 무성서원(井邑 武城書院)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탐방 중 오늘은 정읍에 있는 무성서원을 찾았습니다.그동안 우리나라의 많은 서원 중 유네스코에 의해 한국의 서원으로 선정된9개 서원을 모두 방문해 보는 것을 목표로 돌아보는 중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전북지역에서는 유일하게 선정된 정읍의 무성서원을 찾았는데위의 사진에 보듯이 민가 건물이 서원으로 들어가는 입구 홍살문 옆까지 있어조금은 안타까운 생각이 듭니다. 유네스코에서도 인정한 세계적인 우리의 역사인데 허술하게 골목길 안에방치된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서원 입구에 비석을 모아두어 보존한 것은 좋습니다. 우리나라 서원은 그 설립 목적이 성리학에 기초를 둔 이상적인 지식인을 기르고지역의 대표적인 성리학자를 사표로 삼아 제향 하며 지역사회의공론을 형성하는 일이라고 하지요. 따라서 설..
2023.07.26 -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서원’으로 선정된 경주 안강에 있는옥산서원(玉山書院)을 돌아봅니다.경주지역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세계 유산을 보유한 도시지요.우리가 알고 있는 것만 대강 훑어볼까요? 경주지역은 1995년 석굴암과 위의 사진에 보이는 불국사를 시작으로 2000년 대릉원,첨성대, 월성, 남산 등을 포함한 경주 역사유적지구가 있고 2010년 한국의역사마을(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이 있으며 오늘 돌아볼 2018년 한국의 서원까지 삼국시대신라 때부터 조선시대 역사를 아우르는 세계적인 역사문화도시라고 합니다. 특히 옥산서원은 2010년에 양동마을과 함께 먼저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가 2019년 7월 6일에 한국의 서원 중 하나로 다시 선정되었으니 세계유산 2관왕이 된 셈이네요.그러나 다른 세계유산..
2023.05.17 -
옥천향교
조선시대 공립학교 역할을 했던 향교가 지방마다 있지요. 오늘 구경할 곳은 충청북도 옥천에 있는 옥천향교입니다. 그러나 여기도 코로나 영향으로 문을 닫은 상태로 안으로는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홍살문 오른쪽 아래로는 하마비가 아직 옛 모습을 지키며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세월의 힘을 이기비는 못하고 글자가 많이 마모되어 자세히 보지 않으면 그냥 돌기둥처럼 보이기도 하네요. 이 향교는 조선 태조 7년(1398)에 창건했다고 하니 거의 630여 년이 되었네요. 처음에는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답니다. 대성전은 조금 늦은 시기인 세종 22년(1440)에 건립하였다네요. 그러나 선조 때 임진왜란의 병화로 소실되었던 것을 1954년에 유림총회에서 황폐한 향교 재건..
2023.02.06 -
세계유산, 필암서원(筆巖書院)
필암서원을 들어가는 입구에는 위의 사진에 보이는 홍살문이 보입니다. 홍살문은 예의를 갖추어 경의를 표하는 신성한 장소임을 알리는 붉은 칠을 한 문이지요. 홍살문 옆에는 하마석(下馬石)이라는 돌이 설치되어 있어 누구나 이곳에서 말에서 내려 예의를 갖추고 걸어 들어가야 한다는 의미지요. 이제 우리도 홍살문을 거쳐 안으로 들어가며 필암서원(筆巖書院)은 어떻게 구성되어있나 보렵니다. 필암서원은 1590년 하서 김인후(1510-1560)의 후학과 호남 유림들이 중심이 되어 건립되었으며 1786년 하서의 제자이자 사위인 고암(鼓巖) 양자징(梁子澂)(1523-1594)을 추배 하였다네요. 특히 필암서원은 1659년 필암으로 사액을 받았으며, 하서 김인후 선생은 호남에서 유일하게 문묘에 배향된 점에서도 이 지역의 선비..
2023.01.30 -
진위향교(振威鄕校)
1983년 9월 19일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진위향교를 찾아보았습니다.향교는 조선시대에 공립 중고등학교의 역할을 담당했돈교육기관으로 개인이 설립한 사립학교의 역할을 했던 서원과는 달리규모가 아무래도 서원보다는 작지만, 구조는 비슷한 형태를 볼 수 있네요.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지요.처음 지었던 건물은 병자호란으로 소실되어 초가집을 지어 위패를 모시다가1644년(인조 22) 지금 볼 수 있는 형태의 기와집 건물을 짓기 시작했다네요.이후에도 여러 번 중수하여 오늘날과 같은 건물이 되었다고 하네요. 향교는 남향으로 경사지에 자리하고 있네요.현존하는 건물로는 6칸의 대성전,6칸의 명륜당, 맞배지붕인 외삼문(外三門), 서재(西齋) 등이 있..
202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