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럽, 발트3국, 러시아 2017/리투아니아(38)
-
아픈 역사의 현장 리투아니아 국회의사당
빌뉴스 대성당 광장에서 게디미나스 대로를 따라가다 보면 오른쪽에 아주 멋진 건물이 보입니다. 이 건물은 국립 도서관(Lietuvos Nacionalinė Martyno Mažvydo Biblioteka) 건물이라네요. 하늘을 향해 화살을 쏘는 아주 멋진 천사상이 도서관 광장에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찾아온 곳은 도서관이 아니라 바로 그 옆에 있는 국회의사당 건물입니다. 위의 사진에 보이는 리투아니아 국회의사당은 예상 밖으로 규모가 작습니다. 게디미나스 대로를 따라가다 보면 왼쪽에 어제 보았던 KGB 건물이 보이고 조금 더 가야 국회의사당 건물을 만날 수 있지요. 리투아니아 국회의사당이라는 현판과 말 탄 기사의 모습의 동판이 보입니다. 말 탄 기사는 리투아니아의 상징인 국장이겠지요? 건물 규모는 우리나라 ..
2018.04.12 -
빌뉴스 KGB 박물관(Genocido aukų muziejus)
나이가 제법 드신 노인이 어느 건물 벽 앞에 서서 미동도 하지 않습니다. 두 손을 가지런히 잡고 마치 경건한 기도라도 하는 듯하지 않습니까? 오늘은 이 건물 이야기부터 시작합니다. 리투아니아 빌뉴스에도 아픈 상처가 남아있다기에 그곳을 찾았습니다. 어제는 나치 독일에 의해 고통받고 가스실로 끌려가 억울한 죽음을 맞이했던 유대인 게토 지역을 보았습니다. 오늘은 악명 높았던 빌뉴스 KGB 박물관(Genocido aukų muziejus)을 찾았습니다. 이곳을 강제로 지배했던 두 나라에 의해 많은 사람이 고통받고 죽었다네요. 이곳이 있는 위치는 게디미나스 대로(Gedimino pr)입니다. 게디미나스 대로는 대성당 광장에 서면 바로 눈앞으로 길게 곧장 펼쳐진 큰길이 보입니다. 이 길이 바로 게디미나스 대로입니다..
2018.04.11 -
빌뉴스 게토지역의 아픈 과거
빌뉴스에는 유대인이 집단 거주하는 지역에 위의 사진에 보이는 시나고그(synagogue)라고 있습니다. 위의 사진처럼 이곳 빌뉴스에도 유대교 회당을 일컫는 시나고그가 있습니다. 이곳 리투아니아도 폴란드와 같은 연합국이었기에 유대인에 대한 차별이 없어 유럽 내의 많은 유대인이 모여 살았다 합니다. 시나고그란 유대인의 정신적인 지주라고 봐도 되겠지요. 너무 많은 유대인이 살았기에 나치 독일의 강제 점령 때에는 오히려 더 큰 주목을 받았으며 그로 인해 더 많은 유대인이 고통 속에 핍박과 가스실로 끌려갔을 겁니다. 차별이 없어 편안했던 삶이 오히려 악몽이 되고 말았네요. 시나고그라는 말은 고대 그리스어 시나고게(συναγωγή, synagogē)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미 이번 우리 여행에서 폴란드 ..
2018.04.10 -
리투아니아 대통령 궁과 빌뉴스 대학교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는 리투아니아를 대표하는 국립 대학교가 있다고 합니다.빌뉴스 대학(Vilniaus universitetas)은 1579년에 설립되었다고 하니 역사가 무척 오래되었습니다.그리 알려지지 않은 나라지만, 대학 설립을 보니 무척 오래된 곳이네요. 학생 수가 2만 명이 넘는다 하니 대단히 규모가 큰 학교입니다.한때는 유럽 최대 규모였다고 합니다.지금은 발트 3국의 대학 중 가장 큰 규모라고 하네요.리투아니아의 전체 인구가 300만 명도 되지 않은데... 설립 당시 폴란드의 크라쿠프에 설립한 대학과 동등한 수준의 교육기관이었다고 하니...그때는 리투아니아와 폴란드는 연합국으로 있었을 때네요. 제정 러시아의 지배 때에는 대학 내에서 러시아어 외에 리투아니아나 폴란드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
2018.04.09 -
빌뉴스 대성당과 그 주변 풍경
게디미나스 대공의 동상 그 뒤로 커다란 건물이 보이는데 빌뉴스 대공의 궁전이랍니다.(Nacionalinis muziejus Lietuvos Didžiosios Kunigaikštystės valdovų rūmai)우리말로는 리투아니아 왕궁이라는 말이겠지요. 현재는 박물관으로도 사용한다고 하네요.지하에 아래 사진처럼 초기 왕궁 건설 당시의 모습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리투아니아 대공의 궁전은 1530년에 세워져 1801년 러시아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다가 2009년에 부분 복원되었다 합니다.당시 주춧돌 등을 지하에 내려가면 볼 수 있습니다.지금 보고 계신 사진이 바로 그때의 모습이죠. 오늘은 빌뉴스 대성당(Vilniaus katedra)과 그 주변을 구경합니다. 위의 사진은 대성당 앞에 있는 ..
2018.04.06 -
게디미나스 대공(Grand Duke Gediminas)
말 한 필을 끌고 양팔을 앞으로 벌린 장수의 모습이 보입니다. 어떤 사진일까요? 마치 두 팔을 앞으로 벌린 모습이 중국의 강시처럼 보입니다. 술래잡기라도 하고 있을까요? 어색한 모습으로 보이지만, 이 동상은 리투아니아에서는 가장 유명한 역사적인 인물이라는 게디미나스 대공(Monument to Grand Duke Gediminas/Paminklas LDK didžiajam kunigaikščiui Gediminui)의 조형물이라 합니다. 동상 아래로 보이는 5명의 얼굴상은 리투아니아를 다스렸던 대공의 모습입니다. 그가 리투아니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라 생각되네요. 빌뉴스에서는 더욱더 그렇다고 합니다. 이곳에 이런 강시처럼 생긴 조형물을 만든 이유를 들어볼까요? 리투아니아의 수도인 빌뉴스(Vilnia..
2018.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