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나스(16)
-
동화같은 도시 탈린으로
오호라! 그림 같은 풍경...여러분의 눈에 아주 익숙한 모습이죠?아마도 에스토니아 탈린을 다녀오신 분이나 여행을 계획 중인 분이 계신다면 위의 사진은 분명히 기억하고 계실 겁니다.이 사진이 바로 탈린을 대표하는 사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사실, 우리도 이 풍경을 찍은 사진에 홀려 이곳을 이번 여행에서 가장 중요한 곳으로 정하고 떠났으니까요. 그야말로 그림 같은 아름다운 풍경이 아닐 수 없잖아요.2017년 5월 29일 월요일, 저녁노을 붉게 물 들어가는 밤 10시가 가까웠을 때 톰페아 언덕에 올라 찍은 모습으로 위의 두 장의 사진은 같은 시각에 카메라와 휴대전화로 각각 찍어 보았는데 느낌이 다르네요.그러니 보시는 분에 따라 느낌 또한 모두 다르지 싶네요. 늦은 시각임에도 아직 해가 넘어가지 않았다는 말은..
2018.08.01 -
평화로운 룬달레 궁전 주변
아름다운 유채밭이 펼쳐져 있습니다. 이번 여행에서 늘 보았던 풍경이 유채밭과 민들레로 뒤덮인 평야였습니다. 5월의 이 지방은 유채로 노란 세상을 만들었습니다. 지난밤에는 동네 마실 나갔다가 비가 내려 숙소로 바로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숙소로 돌아온 후 비는 금세 그치고 다시 해가 나더군요. 아직 어두운 밤은 오지 않았고... 시기적으로 백야현상이 있는 곳이라 밤에도 늦게까지 해가 있습니다. 그냥 숙소에서 머물기 지루하여 다시 길을 나섭니다. 같은 장소, 같은 대상을 바라보고 찍은 사진입니다. 낮에 보았던 모습과 저녁노을이 길게 드리운 모습은 또 다른 느낌이네요. 왼쪽은 저녁노을이 붉게 물든 저녁에 찍은 사진이고 오른쪽은 아침에 찍은 사진입니다. 분위기가 전혀 다른 모습이 아닌가요? 같은 장소에서 바라본 ..
2018.06.13 -
예술작품으로 가득 찬 룬달레 궁전
룬달레 궁전을 다니다 보면 궁전 뒤로 열린 창문을 통해 밖을 내다볼 수 있습니다.바로 위의 사진입니다.아주 조형미가 돋보이는 정원의 모습이 아닌가요? 2층에서 바라보았기에 정원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곳입니다.실제 정원 안을 돌아다니다 보면 시야의 높이가 다르기에 정원의 전체 모습을 제대로 보기 어렵잖아요.세상은 이렇게 어디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느낌이 다릅니다. 오늘도 계속해서 궁전 내부의 모습을 구경하렵니다.천장을 프레스코화로 그려 화려한 장식을 했는데 그냥 적당히 그린 그림이 아니라 이탈리아 화가인 프란체스코 마르티니와 카를로 주치를 불러와 멋진 명화를 천장에 그렸습니다. 이 룬달레 궁전은 천장만 바라보고 다녀도 좋겠습니다.그냥 그린 그림이 아니라 모두 주제를 가지고 그렸다는데 우리 같은 일반인..
2018.06.08 -
리투아니아 카우나스에서 라트비아 바우스카로...
리투아니아의 옛 수도인 조용하고 차분했던 카우나스를 떠나는 날입니다.이제 리투아니아를 떠나 발트 3국 중 가운데 있는 라트비아로 가려고 합니다.오늘 일정은 제법 복잡하네요. 우선 리투아니아의 카우나스에서 출발해 라트비아의 작은 마을인 바우스카(Bauska)라는 곳으로 먼저 갑니다.바우스카는 두 나라의 국경 부근에 있어 멀지 않습니다. 리가에서는 65km 정도 떨어져 있고 리투아니아 국경으로부터는 약 20km 정도 떨어져 있는 아주 작은 곳입니다.두 나라의 수도인 빌뉴스와 리가를 오가는 교통의 중심 마을이지만, 워낙 작은 마을이라 이곳에 버스가 거의 서지 않고 통과만 하는 곳이라네요. 그러나 우리의 목적지는 바우스카가 아니라 그곳에서 다시 버스를 갈아타고 룬달레(Rundāle)라는 곳으로 갑니다.궁전..
2018.06.01 -
카우나스에서 보았던 일본의 쉰들러 이야기
자유로를 걷는 중 옆길로 잠시 들어갔다가 어느 건물 벽에 일본인의 얼굴이 보입니다. 이 사람은 일본의 쉰들러라고 불리는 사람이라 하네요. 이름은 스기하라 지우네(杉原千畝:1900~1986)라는 인물입니다. 위의 사진에 보이는 인물이 바로 스기하라 지우네입니다. 유럽에서는 센포 스기하라라고도 하고요. 왜 일본인의 모습이 그려졌고 그의 자취가 이곳에 남아있을까요? 그는 원래 주 핀란드 대사관에 근무하다가 이곳 리투아니아로 파견 나와 혼자 근무했던 1인 영사 대리였다고 합니다. 소련이 점령하고 있는 리투아니아가 독일의 손아귀로 넘어가는 것이 분명해지던 시기였다고 하네요. 그때 유대인에 대한 나치의 탄압이 시작되고 폴란드에 거주했던 유대인까지 이곳으로 피난을 시작했답니다. 유대인들은 남미에 있는 섬들(네덜란드,..
2018.05.31 -
카우나스의 슬픈 이야기 로마스 칼란타(Romas Kalanta)
자유로는 카우나스의 랜드마크이자 자부심이라 생각합니다.구소련의 강점으로 서슬 퍼렇던 시절에도 이곳 카우나스에는 자유로가 있었다네요.물론, 처음 만들었을 때와 나치 독일의 점령 때에는 다른 이름이었겠지만... 위의 사진은 카우나스 시청사 앞에서 본 모습입니다.카우나스와 자매결연을 한 도시 이름이겠지요?우리나라 도시와는 아직 인연을 맺지 못했나 봅니다. 오늘은 자유로를 걷다가 보았던 우울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1972년 5월 14일 바로 이 자유로 한가운데에서 일어났던 이야기입니다.당시 19살이던 카우나스의 한 청년이 휘발유를 몸에 들이붓고 분신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그의 이름은 로마스 칼란타(Romas Kalanta)라는 청년으로 그 청년은 공장에 다니며 히피에 심취했고 시를 쓰고 기타로 노..
2018.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