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8)
-
문자 박물관
이제 은허유적지를 모두 보고 올 때 타고 왔던 무료 셔틀버스를 타고 은허박물관으로 되돌아옵니다. 박물관으로 들어가는 입구에서 내려달라고 해 그곳에서부터 걸어 나와 버스정류장으로 갑니다. 8시 40분에 입장해 12시에 두 군데 구경을 마쳤으니 은허박물관과 왕릉유지를 모두 보는데 3시간 20분 정도 걸렸네요. 혹시 이곳을 가시려는 분은 시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시간을 확인하니 우리가 2시 50분 기차를 타고 쉬창으로 갈 시간이 아직 많이 남아 문자 박물관까지 보고 오렵니다. 다시 걸어나와 입구에 보이는 교통 초소에 들려 문자박물관으로 가는 버스 편을 물어봅니다. 바로 한 번에 가는 버스가 있다고 하네요. 41번 버스를 타라고 합니다. 바로 버스 종점인 공교동짠이 문자박물관입니다. 이렇게 1원만 주고 시내..
2013.02.02 -
사모무정이 출토된 곳
이번에는 짐승을 제사에 이용한 수제갱 유지(獸祭坑遺址)로 갑니다. 당시 사회는 사람만 제사의 제물로 사용한 게 아니라 짐승도 사용했다 합니다. 그래도 짐승을 사용했으니 다행이네요. 전부 사람으로만 하라고 하면 여기저기 곡소리가 많이 났을 텐데... 여기는 상나라의 사회생활에서 가장 중요시한 제사와 순장을 그대로 볼 수 있는 곳으로 주변에 수천 개의 제사갱이 발견되었고 여기에 순장이라는 제도를 통해 희생된 사람의 유골이 거의 2천여 명에 육박한다 합니다. 상나라의 제사풍습을 연구할 수 있는 살아있는 교과서라고 봐야 하겠네요. 이곳의 제사갱이 아주 규칙적으로 만들어졌고 안에 있는 유골은 대부분 목이 잘린 모습으로 묻혔으며 여자나 아이의 유골도 발견되었다고 하니 우리가 상상하지 못하는 끔찍한 일이 일어났다는 ..
2013.01.31 -
은허왕릉유지(殷墟王陵遗址)
은허박물관에 오신 분이라면 대부분 여기 차마갱, 부호묘 그리고 박물관만 주로 보고 돌아갈 것 같으나 우리가 산 표에는 여기 말고 은허왕릉유지(殷墟王陵遗址)라는 곳도 함께 볼 수 있는 통표입니다.아마도 모르면 그냥 빠뜨리고 갈 것 같습니다. 이곳으로 가는 방법은 무료 셔틀버스를 타고 가면 됩니다.물론, 올 때도 그 셔틀버스를 타면 다시 이곳으로 올 수 있으니 걱정 말고 다녀오시면 되고 단체로 오신 분이야 은허왕릉유지(殷墟王陵遗址)가 제법 멀리 떨어져 있어 시간상 대부분 생략하겠지만, 우리처럼 자유여행을 오신 분이라면 그곳도 가는 게 어떨까 생각합니다. 왜?돈을 모두 냈으니까!그리고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되니까!버스 타는 곳은 바로 은허유적지 문표 파는 곳 앞에서 출발합니다. 은허왕릉유지(殷墟王陵遗址)는..
2013.01.30 -
은허박물관
이제 박물관으로 들어갑니다.은허박물관은 부호묘나 차마갱, 그리고 유적지 등 유물이 발견된 곳에 그대로 전시실을 만들어 보여주네요.그리고 그곳에서 출토된 유물을 따로 모아 진품이나 모조품을 보여주는 장소로 박물관이라 하여 지하에 만들어 놓았습니다.지하에 만든 박물관은 오직 상나라 시기의 유물만 모아 보여준다고 하네요. 위의 지도는 상나라의 초기, 중기 그리고 후기시대의 분포지역을 나타낸 지도로 상나라는 문자로 기록된 나라 중 제일 오래된 중국의 나라 이름이라고 봐도 되는데 그 나라의 위치가 우리 서해에서 가까운 산동성에서 시작했다는 말은 의미 있는 말이 아닐까요? 원래 상나라는 지금 산동성 공자의 마을 곡부에 도읍을 정했던 모양입니다.그러나 20대 왕인 반경이 기원전 1.300여 년 전 이곳 소둔마을인..
2013.01.29 -
차마갱과 순장
여기는 오랜 세월 동안 전설처럼 회자한 상 왕조의 실체를 보여주는 곳이라 생각됩니다.이곳 은허유적지가 발견되기 전까지 상나라는 그냥 전설 같은 이야기 속에 나오는 곳으로 치부되었다 하며 처음 갑골문의 발견으로 세계의 이목이 점차 은허로 쏠렸고 1920년대에 이르러 서구의 고고학자들이 점차 중국으로 눈을 돌리자 중국 고고학계도 마냥 발굴을 미루고 있을 수는 없었을 것이기에 이로써 전설 속에만 이야기되던 상나라가 드디어 역사의 한 페이지로 당당히 기록되게 되었답니다. 1928년 10월 드디어 중국정부에서 이 지역의 유적발굴을 시작했다 합니다.그러나 1937년 일본의 중국 침략으로 다시 유적발굴은 잠시 중단되게 되었답니다.그러나 이때까지 이미 상나라의 궁전구(宮殿區)와 왕릉구(王陵區)가 발견되었으며, 도기,..
2013.01.28 -
은허 갑골문
중국의 안양이라는 작은 도시(우리나라와 비교하면 대도시)가 우리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된 이유는 바로 갑골문이라는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일 겁니다.이제 도끼 부인인 부호묘를 나와 북쪽으로 난 길을 따라 걷습니다.그곳에는 아주 기다란 주랑을 만들어 놓고 갑골문의 글자와 지금의 글자와의 비교와 갑골문의 내용을 해석해 놓았지만, 그러나 뭘 알아야지요. 1899년, 지금으로부터 100년도 더 전에 이곳 소둔촌이라는 곳에서 처음으로 갑골문이 발견되었다 하는데 갑골이란 거북의 등껍질이 아니라 뱃가죽 뼈와 소의 어깨뼈를 말한다 하며 그곳에 새긴 글자가 발견되었고 그 이름을 갑골문이라 한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글을 남기려기 보다 점을 치는데 사용되었던 모양입니다.위의 갑골문은 모형이지만,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2013.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