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욘(5)
-
바이욘... 그 진솔한 삶...
이곳에 가면 그들의 삶도 살짝 엿볼 수 있다. 가만히 부조를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그들의 삶도 우리와는 별반 다를 게 없다는 생각이다. 비록 나라가 다르고 세월이 흘렀지만. 아래 사진은 여인들의 모습이다. 여인들의 오른쪽으로는 강을 의미하는 물고기들이 아래에서 위로 흘러가는 모습이다. 서 있는 여인들은 강변으로 물놀이 온 귀족들로 보이며 그 아래에 앉아 있는 여인들은 시중을 들고 있다. 제일 오른편에 서 있는 여인이 佳人의 모습을 보자마자 흥에 겨워 춤을 추며 노래한다. 물 위로 언듯 그림자가 비치더니 佳人님이 지나가시는구나. 佳人님아, 거기 서 있으시오. 님이 가시는 곳을 물어봅시다. 그러자 佳人님이 손가락으로 흰 구름을 가리킬 뿐, 돌아서 보지도 않고 가시는구나. 정말로 그렇게 佳人은 노래하는 여인을 ..
2008.12.31 -
바이욘에는 천년의 이야기가 있다.
이곳 바이욘의 석벽 부조는 그야말로 제목을 붙인다면 라고 이름 지을 수 있다. 참파와의 전쟁과 지방 세력과의 내부 반란 진압 등으로 국내외적으로 전쟁의 이야기가 있고. 그리고 평화로운 시기에 민초들의 생활 모습이 바로 이곳 석벽에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곳 바이욘의 1층 회랑의 석벽 부조가 더 친근하게 느껴지는지도 모르겠다. 오늘도 전쟁 장면부터 본다. 남자들에게 듣는 지겨운 이야기도 군대 이야기다. 세계 역사에도 전쟁 이야기가 빠지면 김빠진 맥주다. 참파군의 모습이다. 확실히 크메르군 보다 더 폼 나고 잘 생겼다. 만약에 이들이 이순신 장군으로부터 학익진을 배웠다면 참파군이 승리했을지도 모른다. 학익진. 전세계 해전사를 통틀어 우리의 영웅이신 이순신 장군이 특허를 지닌 세계적인 전법이다...
2008.12.31 -
바이욘에는 민초들의 삶이 있다.
오늘은 얼굴 말고도 1층 회랑을 따라 석벽 부조에 조각된 그들의 진솔한 삶도 엿보기로 하자. 여기에 사진 설명은 오직 佳人만의 개인적인 생각이다.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佳人의 이야기는 호환 마마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 또 전쟁부터 시작한다. 역사란 전쟁의 역사가 맞다. 항상 민초의 삶은 뒷전이다. 앙코르의 석벽 부조는 양산의 숫자로 직급을 알 수 있다고 한다. 참파 왕국과의 전쟁에 나서는 전쟁의 제왕 자야바르만 7세가 아닐까? 설령 아닐지라도 맞다고 하고 가자. 머리를 뒤로 단정히 빗어 넘긴 크메르 병사들이 진격을 한다. 방금 내린 비로 얼룩이 생겨 사진 찍기가 어렵다. 전쟁이 비 온다고 쉬는 것도 아니니. 이곳 석벽 부조에는 회랑이 없다. 아마 예전에는 혹시 나무로 만든 ..
2008.12.31 -
펜으로 그리는 앙코르의 미소
비는 이렇게 1시간가량 세차게 내린다.자야바르만 7세도 슬픈 모양이다.내리는 비를 그냥 맞고 있다."앙코르의 미소"가 "앙코르의 번민"처럼 느껴진다. 이곳을 찍은 사진들은 대부분 날씨가 좋은 날 찍은 사진들이다.오늘은 비 내리는 바이욘의 미소를 한번 보자.큰 사진으로 보시면 내리는 비를 그대로 보실 수 있으며 또 다른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것 같다. 한때 동남아시아를 주름잡던 그도 내리는 자연의 현상에는 그냥 순응하는 인상이다.아래 사진은 내리는 비가 그리 반갑지 않은 표정처럼 보인다. 이곳에는 미소를 띈 얼굴상만 있지는 않다.굳게 다문 입에서 그의 결연한 의지를 보여주는 듯한 모습도 볼 수가 있다. 이곳에 있는 216개(지금은 아니다)의 얼굴 표정이 모두 다르다는 바이욘의 얼굴들.내리는 빗 속에서..
2008.12.31 -
바이욘... 영원한 미소
우리는 3일 입장권의 마지막 유적지 바이욘으로 향했다. 위대한 도시라는 의미의 앙코르 톰. 그 한가운데 씨엠립을 대표한 모습 중 하나인 우뚝 솟은 바이욘 사원의 수많은 얼굴상들. 누구는 부처님의 얼굴이라고 하고 누구는 자야바르만 7세의 얼굴이라고도 한다. 앙코르의 미소라고도 부르는 얼굴상들은 보는 사람들의 입을 다물지 못하게 한다. 오늘 이곳에 모여서 무슨 회의라도 하시는겐가? 웬 얼굴들이 이리도 많은 겐가. 가로 세로 3km의 정사각형 반듯한 도시며 동남아시아의 중심 중 가장 중앙이라고 여겼던 이곳. 그 중심에서 가장 중앙에 위치한 바이욘은 위치만 보더라도 중요성을 인정해야 한다. 전성기에는 이곳과 주위에 100만 명이 거주했다는 앙코르 톰. 우리가 8만대장경을 만들어 국가의 안녕을 염원했듯이 이들은 ..
2008.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