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여행기/윈난성 여행 2016

지무삼리평(地無三里平)이라는 구이저우

佳人 2017. 3. 22. 09:00

 

비가 오다 말기를 번갈아 합니다.

어제 늦게나마 날씨가 좋았을 때 마링허 구경을 마친 게 천만다행입니다.

구이저우 성(귀주성:貴州省)을 말하기를 중국 청나라의 주이존(朱彛尊)이 편찬한

명나라 시집 명시종(明詩綜)에 이런 글이 실렸다 합니다.

 

 

"天無三日晴(천무삼일청)

地無三里平(지무삼리평)

人無三分錢(인무삼분전)"

 

이 말은 "하늘은 삼일 계속 맑은 날이 없고

땅에는 삼 리가 평평할 수가 없으며

사람은 세 푼의 돈조차 없다."는 말이지요.

구이저우에서 산다는 일은 그야말로 기후조차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뭐 찢어지게 가난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말이잖아요.

 

 

오늘 비가 계속 내리니 첫 번째 이야기가 맞는 말이고 이곳에서 만봉림 봉우리를

보니 삼리가 평평한 땅이 없다는 地無三里平(지무삼리평)이라는 말도 증명되네요.

또 다른 말로는 땅바닥에 송곳 꽂을 땅도 없다고 하는데 과장된 말이지만,

그만큼 산이 많다는 의미겠네요.

 

 

척박하고 일기 고르지 않고 그러다 보니 농사지을 땅이나 기후조차

좋지 않아 사람이 살기에는 적합한 곳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구이저우 성은 1년 중 3분의 2가 비가 내리며 구릉과 산지가 전체면적의

90%를 차지해 척박하기 그지없는 가난하기로 손꼽히던 지역이라 합니다.

 

 

그러나 가난하다는 말은 예전에 말입니다.

죽의 장막이 서서히 걷히며 흑묘백묘론을 부르짖은 후 변화의 격랑에 휩쓸리게 되었지요.

물론, 산업화가 진행되는 곳이 아니기에 경제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좋지는 않지만요.

현재에 와서는 그러한 자연조건으로 인하여 발전이 더뎌지며 예전 모습이

고스란히 남아 있어 오히려 많은 여행자가 찾아오는 명소가 되었습니다.

 

 

산과 구릉과 봉우리와 폭포와 협곡이 만든 아름다운 자연에 빠져 그 모습에

감탄하며 내외국인이 가리지 않고 찾는 중국 관광의 대명사가 바로 여기입니다.

오죽하면 다차이 구이저우(다채귀주: 多彩贵州)라고 하겠어요.

 

 

험한 산세로 버려진 곳이 근대화의 바람을 막았고 가난했기에 옛날 모습 그대로

살기에 지금은 오히려 그런 모습이 관광자원이 되어 많은 사람이 찾아오니

 아이러니가 아닌가요?

어렵고 힘들게 살아왔기에 오히려 더 많은 예전의 모습을 지니고 있기에

빛을 보고 있다는 말이 좋은 의미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합니다.

세상은 그런 듯합니다.

늘 양면의 얼굴을 지닌 이중적인 그런 의미 말입니다.

 

 

여기는 그렇게 많은 비가 내리는 동네인가 봅니다.

중국을 다니다 보면 그 지역의 기후를 일컫는 재미있는 말이 많습니다.

촉견폐일(蜀犬吠日)이라는 말이 있죠.

유비가 있었던 촉나라에서는 늘 흐린 날이 많기에 해가 뜨면

개가 이상하게 생각해 짖는다는 말이죠.

 

 

이와 비슷하게 월견폐설(越見吠雪)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월나라 개는 눈이 오면 짖는다는 말로 중국의 강남은 눈조차 내리지 않는 지역이라

따뜻한 지역이라 눈이 내린다면 정말 신기하지 않겠어요?

물론, 이 말의 의미는 아는 게 없는 사람이 평범한 일에 놀라는 것을 말한다고 하지만...

중국의 개는 사람보다 더 똑똑한가 봅니다.

 

 

정말 사람보다 더 똑똑할까요?

중국 여행을 하다 보면 많은 사람을 만나게 되는데 우리가 여행하며 만났던

이런 많은 사람을 佳人의 입장에서는 개인적으로 크게 세 부류로 분류할 수 있더군요.

 

하나는 한국에 대한 동경을 가진 사람입니다.

한류에 적극적으로 휩쓸린 사람이죠.

주로 젊은 여성층인데 그들은 우리보다 한국 연예계 소식에 아주 정통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도 모르는 연예인의 이름을 줄줄대고 그들의 노래를 휴대전화의

컬러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 한국에서 방영한 연속극에 대한 내용도 우리보다 더 많이 알고 있습니다.

너무 열광하니 중국 정부에서 놀라 막기 시작하며 지금은 예전만 못하겠네요.

 

 

다른 한 부류는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이름조차 생소하게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주로 시골에 사는 사람으로 이들은 우리의 생김새가 저들과 비슷하고 한국이라는

나라조차도 모르기에 자기도 모르는 중국의 다른 지방에서 여행 온 사람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지금 사는 곳에서 한 번도 외부로 나가본 적도 없고 공부도 많이 하지 않았기에 세상일에

관심도 없는 그런 부류의 사람이지요.

세상 돌아가는 일에 전혀 관심조차 없는 사람이기도 하겠지요.

 

 

그리고 마지막 부류는 한국에 대한 시기와 질투를 하며 반감을 지닌 부류입니다.

주로 인텔리겐치아라고 하는 사회적인 지위도 있고 제법 많이 공부했다는 사람이 주로

이 부류인데 이들은 아직도 중화라는 예전의 생각을 하고 살아갑니다.

자기가 공부한 바로는 중국이 세상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월등하게 앞선 나라라고 생각했는데

외부의 문이 열리며 한국에 대한 뉴스를 접해보니 배운 것과는 달리 반대의 모습이니

수긍하기 어려워 혼란에 빠진 사람이지요.

중국은 상국이고 한국은 조공이나 바치는 그런 작은 나라로 깔보고 있는 부류죠.

공부를 많이 했으면 현실에 대해 빨리 인식해야 하는데 알고는 있지만,

전혀 인정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지요.

 

 

그래서 그들 중 일부 강경파는 툭하면 트집 잡아 경제적으로 한국을 손보아야

한다고 하는 사람들이 제법 있는데 중국몽에 사로잡혀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이웃에 대한 배려나 인식의 변화가 없다는 겁니다.

물론, 지금은 또 국제정세도 예전과는 많이 달라졌기에 또 다른 분위기겠지만,

그때는 중국이 한창 경제적으로 낙후되었다가 막 성장기에 접어들었을 때였지요.

 

 

늘 한국이나 이웃 나라는 중국의 눈치만 보고 중국이 시키면 예전처럼 바짝 엎드려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아시아의 일진과도 같은 생각에 빠져 학교 폭력과도 같은

일이나 하며 사는 그런 부류의 사람이 아니겠어요?

지금 직면한 사드 문제가 바로 대표적인 것으로 사드가 문제가 아니라 사드가

트집 잡을 꼬투리가 된 것이지요.

사실 중국은 사드와 비슷한 군사시설을 우리 서해의 가까운 해안 지역에 집중 배치해

우리나라의 모든 움직임을 면밀히 들여다보며 관찰하면서

우리가 하면 불륜이라고 짖어대고 있지요.

 

 

이제 세상이 변했기에 누가 경제적으로 앞서고 뒤서고 가 없게 되었습니다.

세상은 서로가 축이 되어 돕고 살아야 하는데 아직도 옛날 사고에 빠져

사리분별도 못하는 그런 사람으로 우리가 알던 세계 4대 문명 발상지라는 곳의

현재 상황은 대부분 사실은 4대 낙후지역이 되었지요.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 사람 중에 아직도 그들과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고 중국을 문명국이니 뭐니 하며 우리 스스로를 비하하며

얼빠진 말을 하는 그런 사람 말입니다.

 

그런 사람이 많아질수록 중국의 역사 공정은 쉽게 완성할 수 있다고 봅니다.

이제 발해도 중국의 지방정권이 되었고 고구려도 중국의 역사 속으로 들어갑니다.

한때는 우리보다 앞섰지만, 지금의 중국은 우리보다 뛰어난 것도 별로 없습니다.

 

 

사실 중국이 큰 힘을 가졌을 시기는 만리장성을 넘어 중원을 지배했던

북방 이민족이 지배했을 때입니다.

한족이 아니라 중원에서 오랑캐라고 불렀던 그런 민족 말입니다.

한족이 세운 나라보다 오랑캐라고 불렀던 그들 아래서 중원의 문화가 발전했고

그들의 문화가 중원을 빛나게 했지요.

 

그런 민족의 문화가 중원의 문화와 결합해 짬뽕이 된 것이 중원이 아닌가요?

한족이 세운 나라와 이민족이 세운 나라를 열거하며 생각해 보면 쉽게 답이

나오는데 그래서 중국인의 심보는 동북공정이니 뭐니 하며 중국에서는 주변의

모든 민족을 중국의 땅이고 중국의 역사고 중국화 하려고 하는 게 아닌가요?

 

 

며칠 전 중국 어선 240여 척이 우리 영해 속으로 불법 침법해 조업을 한다고 뉴스에서

보았는데 불법 조업의 단속에 대항한 그 모습이 마치 조조가 적벽에서

당했던 연환계를 보는 듯한 모습으로요.

정말 방통이 다시 환생해 수전에 약한 조조 군을 돕는다고

배를 모두 묶어 놓은 줄 알았다니까요.

그런데 문명국이라는 중국 당국이 우리에게 뭐라고 했습니까?

먼저 자기 어선에 대해 영해를 넘지 못하게 단속부터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부에 단속을 심하게 하지 말라고 공갈에 가까운 발표를 하지 않았나요?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바탕은 바로 이웃나라에 대한 예의보다는

아시아의 일진스럽게 군림하려는 마음이 있기 때문이지요.

 

 

사실 중국의 국경은 스스로를 지키고자 쌓았던 만리장성 안쪽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요즈음 중국은 중원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모두 중국화 하는 과정이 공정이라는

이름으로 주변 많은 나라의 역사와 문화까지도 중국의 품 안에 넣는 것은

필연이라고 봅니다.

그래야만 문명국이며 일류국이라는 생각을 할 수 있겠지요.

따라서 역사 공정이라는 것은 만리장성 밖에서 일어난 정권과

문명까지도 중국화 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잠시 이야기의 논점이 흐려졌네요.

그런데 이곳에 수없이 펼쳐진 봉우리들도 모두 이름이 있을까요?

"과유불급이라 너무 많아 이름이 없지 싶습니다."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라고 합니다.

그러니 이곳도 각각 이름은 없어도 봉우리의 생긴 모습에 따라

묶어 부르는 이름이 있다고 합니다.

만약, 이곳에 있는 봉우리에 각각 이름을 붙인다 하면 중국의 모든 문자를

다 동원해도 어렵지 않겠어요?

그리 어렵게 하지 말고 그냥 만봉림 1, 만봉림 2와 같이 뒤에 숫자를 붙이면

모두 이름을 붙일 수 있겠네요.

 

만봉림이라 부르는 이곳을 크게 동봉림과 서봉림으로 나누는데

우리가 구경하는 곳은 서봉림의 일부라고 하네요.

동봉림은 봉우리의 형태가 크고 웅장하여 사람이 살지 않는 곳이라네요.

그러다 보니 아무래도 원시 상태로 보존되고 있나 봅니다.

 

 

마치 칼을 꽂아 가파르고 뾰족한 모습을 한 봉우리는 바오젠펑린(보검봉림:宝剑峰林)이라

부르고 마치 군사가 줄지어 늘어선 듯한 봉우리는 례천펑린(열진봉림:列阵峰林).

오백 나한의 모습을 닮았다 하여 뤄한펑린(나한봉림:罗汉峰林)이 있고요,

 

 

마치 용이 무리를 이루어 춤을 추는 듯하다 하여 췬롱펑린(군룡봉림:群龙峰林)이라

부르는 곳도 있으며 마지막으로 뎨마오펑린(첩모봉림:叠帽峰林)이라고 부르는

봉우리 무리는 마치 모자처럼 생겼기에 그리 부른다 하네요.
이렇게 우리는 관람차를 타지 않고 두 발로만 걸어서 완펑린 관봉도를 걸어서

마지막 관경대까지 갔다가 돌아왔습니다.
패키지여행이 아니라면 걸어서 돌아보시라 권하고 싶습니다.
더 즐겁고 더 아름답다고 느끼실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글쓴이 : 佳人

오늘의 佳人 생각
관봉도를 따라 걷다 보면 멀리 봉우리 숲이 보이고 그 아래에 넓은 밭이 펼쳐져 들판과 산이

 아주 조화롭게 보이고 그 사이에 부이족(포의족:布依族) 사람이 작은 마을을 이루며 

살아가는 평화로운 마을입니다.
그리고 나후히허(납회하:纳灰河)라는 강이 구불구불 마을 사이로 흘러갑니다.
바라보면 마치 한 폭의 산수화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모습입니다.

민초는 이런 아름다운 곳에서 평화롭게 살아갑니다.

그러나 배우고 권력 있는 사람은 아닌가요?

공연히 쓸데없는 이야기 때문에

오늘 여행기가...

나원참!